
하드웨어 설계 및 개발에 대하여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는 공간입니다.
- Q&A, 자유주재 토론, 관련 정보 공유
- 분야 :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 전기/전자(아날로그/디지털) 회로 설계, C/C++ 프로그래밍, 펌웨어,
PCB Artwork, 트러블슈팅 등 하드웨어 설계에 관한 전반인 내용
※ 게시글에 맞는 분류를 선택하여 글을 작성해 주시면 쾌적한 사이트 운영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하드웨어 인사이트는 회원들간의 거래정보를 게재할 뿐이지, 그 어떤 책임과 의무도 가지지 않습니다.
2. 저항이 두개인 이유는 베이스에만 저항을 달아도 됩니다만 혹시라도 TR특성이나 주변온도에 따라 베이스에 흐르는 전류가 최소가 되어도 Tr은 턴 온이 되기때문에 그라운드쪽으로 저항을 하나 더 다는걸로 압니다.
3. TR 콜렉터 와 릴레이의 코일이 전원과 연결되어 있어서 TR이 온 될시 릴레이 코일에 전류가 흘러 릴레이 접점이 붙습니다. 그리고 역방향 다이오드는 코일의 역기전력을 흡수하는 댐퍼다이오드 역활을 하구요 . 그옆의 저항과 같이 있는 다이오드는 LED로 TR온시 발광합니다.
쩝..... 하두 오래전에 배운 것이라 두서없이 적어봅니다. 도움이 되시길
........... 님이 생각하신 내용이 거의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