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ID/PW 찾기

1) 지식 창고는 본인이 작성한 콘텐츠(팁/노하우/리소스/강좌 등)을 무료 혹은 가상화폐인 납포인트를 통해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2) 본인이 작성한 콘텐츠에 대해서만 지식 창고에 등록할 수 있으며, 저작권에 위배되는 콘텐츠는 사전경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3) 콘텐츠 구매 및 첨부파일 다운로드는 회원그룹 '연구원' 이상 가능하오니, 경험치를 쌓아 진급한 후에 이용 부탁드립니다.
4) 무료 콘텐츠의 본문은 구매절차 없이 즉시 이용할 수 있으며, 판매 납포인트가 있는 콘텐츠는 구매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5) 콘텐츠 판매에 따른 납포인트 수익은 지정한 비율(50%)에 따라 판매자에게 지급하며, 납포인트 수익을 통해 진급을 빨리할 수 있습니다.
6) 구매 후 평가를 하면 구매 납포인트의 20%를 돌려 드립니다.

콘텐츠 수 2,652

Orcad Layout Library 만들기

Allego & OrCAD 구매수 0 2007.05.31 10:26:52
판매자 보해소주 판매 납포인트 무료 평점 0점 / 총 0명 참여

Orcad Layout Library 만들기

C강좌 하다가 말고 다시 Orcad 강좌를하는 것 같네요...^ ^
그래도 C를 않하는 것은 아닙니다... 라이브러리 만드는 것이 좀 급한 분들이 있는 것 같아서 이렇게 먼저 올립니다.
C를 기다리시는 분들(있을 까나 모르겠네...T T) 쫌만 참아 주세요...
그럼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 Layou에서 사용하는 Library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보통 그냥 Footprint라고 부릅니다.
왠만한 Library는 Orcad에서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간 중간 자신만의 Library가 필요하신 분들은 결국 만들어서 사용해야 해야 하겠죠... 자 그럼 만들어 볼까요...

우선 Orcad Layout을 실행 시키고 Tools메뉴에서 Library Manager를 실행 시킵니다.

그러면 위의 화면과 같이 그냥 비어있는 Library화면이 나타납니다.

그럼 우리는 새로운 Library를 만들 것 이므로 Create New Footprint 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Create New Footprint 화면이 나오고 우리는 Name of Footprint에 적당한 이름을 넣어줍니다.

만약 ATmega128이라면 Mega128 이런식으로 말입니다. 화면은 그냥 저항을 그릴 것 이기때문에 MyRfoot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Units에서 자신이 사용할 단위를 선택합니다. 이번에 그리는 것이 Dip형의 저항 이니까 Mil단위가 당근 편합니다.

그래서 English를 선택했습니다. mm 단위를 사용하기 원하면 Metric를 선택하면 됩니다. 되었으면 OK를 누릅니다.



이제 화면에 덜렁 PAD하나가 생기고 썰렁한 글씨만 몇개 있습니다.

PAD에는 1 이라는 숫자가 쎃있고 거기에 십자모양의 타겟이 하나 있습니다.

이 타겟은 부품의 원점(0,0)을 나타내는 것 입니다. 아무 지정을 하지 않으면 위의 그림처럼 자동으로 1번 핀이 원점이 됩니다.

그러나 Layout하다가 보면 1번핀이 아닌 부품의 중앙에 원점이 있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수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수정하는 방법은 Layou에서 하는 방법과 동일 합니다... 이전의 Layout 강좌를 함 찾아보세요...^ ^

1번 핀을 선택하기 위해서 툴바에서 Pin Tool을 선택합니다.


Pin Tool을 선택한 상태에서 좌측의 Shift키를 누른상태에서 마우스로 1번 Pad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위의 그림처럼 선택된 Pad가 하이라이트 됩니다. 여기서 Shift를 누르는 이유는 그냥 선택만 하기 위한 것 입니다.

Shift를 누르지 않고 그냥 선택하게 되면 선택은 물론 되지만 설정 후 화면에서 마우르를 따라 Pad가 이동하게 됩니다.

1번 Pad가 선택된 상태에서 View Spreadsheet를 선택합니다.


Pop up 메뉴에서 Padstacks을 선택합니다.


Padstacks 화면이 나타나고 우리가 선택했던 Pad에 대해서 그림처럼 검은색으로 나타나 이것이 우리가 선택했던 녀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면 T1이 Padstacks의 이름입니다.

Layout과 동일한 Layer 이름들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들이 의미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해당하는 각 Layer에 우리가 원하는 PAD 를 형성하겠다는 것 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SMD 형태의 PAD를 만든다면 TOP면에만 PAD가 있어야 하겠죠...

그리고 Dip 형태라면 TOP,Bottom 그리고 멀티라면 Inner Layer에도 PAD가 있어야 할 것 입니다.



그럼 위에서 말씀드렸다 시피 Dip형 저항을 만들 것 이니까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Top,Bottom,Inner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측키를 눌러 Pop up 메뉴를 띄웁니다.

메뉴에서 Properties를 선택합니다.



둥근 지름 60mil 짜리 PAD를 만들기 위해서 위의 그림과 같이 입력하고 OK를 누릅니다.



다음은 PLANE와 SMTOP,SMBOT Layer를 선택하고 같은 방법으로 둥근 형태의 90mil로 만들어 줍니다.

여기서 보통은 TOP,Bottom,SMTOP,SMBOT를 같은 크기로 하고 Plane만 + 20mil 정도 한 값으로 만들어 주는데

저는 그냥 PLANE와 SMTOP,SMBOT을 같은 값을 했습니다. 참고 하세요...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DRLDWG,DRILL에 드릴 홀의 크기를 설정합니다.(부품의 리드 구경에 따라 달라지겠죠...)

설정 끝나면 Spreadsheet를 닫고 Design 화면으로 돌아 갑니다.



우리는 1번 과 동일한 PAD로 2번 PAD를 사용할 것 입니다.

그래서 Shift 키를 누르고 1번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키를 눌러 Pop up 메뉴에서 copy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위의 화면처럼 동일한 크기의 PAD가 졸졸 따라 다닐 것 입니다.


Copy된 PAD를 적당한 위치에 배치합니다. 그러면 PAD가 자동으로 2번이 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PAD의 크기나 모양이 다른 것을 배치하기를 원하시면 해당 PAD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번튼을 눌러 나오는 Pop up에서

Properties를 선택후에 Pad stack Name을 자신이 만들어 놓은 다른 PAD Stack으로 변경 하면 됩니다.


Pad의 배치가 끝났으니 실크 스크린에 들어갈 부품 외곽을 그리기 위해서 toolbar에서 Obstacle tool을 선택합니다.


화면의 아무곳에서 마우스 오른쪽 키를 눌러 메뉴에서 New를 선택합니다.



다시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메뉴에서 Properties를 선택합니다.



Edit Obstacle 화면에서 Type을 Free track로 선택하고 Width는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선택하세요...

너무 두꺼우면 보기 싫고 너무 가늘면 나중에 실크가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Layer는 SSTOP을 선택하고 OK를 누릅니다.


자신이 부품의 외곽을 그릴 첫번째 포인트로 가서 마우스로 선택하면 위의 그림처럼 선이 쭉 따라 옵니다.

Layout에서도 해보셨으니 잘 아실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원하는 위치까지 다 그렸으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들 누르고 메뉴에서 End Command를 선택합니다.


이번에는 화면에 너저분하게 있는 TEXT를 정리 하기 위해서 tool bar에서 Text Tool을 선택합니다.


Text를 선택해서 보기 좋게 배치를 합니다.


만들어진 Library를 저장하기 위해서 화면 좌측 하단의 Save AS 버튼을 누릅니다.

그럼 대화상자가 나타나고 거기서 Create New Library를 누릅니다.

(이전에 있던 Lib 파일에 저정하고 싶으면 그냥 Browse로 해당파일을 찾아서 선택하면 됩니다.)


자신이 만들고자하는 디렉토리에 파일이름을 선택하고 저장을 누릅니다.



Name of library에 자신이 선택한 파일이 맞는지 확인하고 Name of footprint에 이름을 지정하고 OK을 누릅니다.

그러면 지금 만든 Footprint가 해당 Lib 파일에 들어간 것을 볼수 있습니다.

물론 Layout에서는 해당 Lib 파일을 추가 시키면 지금 만든 Footprint를 불러다가 쓸 수 있겠죠...^ ^


profile
DEAN 2007.11.16 05:23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profile
한스 2008.01.16 13:53
감사합니다.^^*
profile
sKYwA 2009.01.31 14:32
수고하셨습니다~~
profile
ken 2009.11.01 22:46
orcad 로 artwork 을 진행 하는게 쉬운가요..?? pads 로 진행 하는게 쉬운건가요..??
보통 회로도는 oarcad로 그리고 artwork 은 pads 로 진행 하잖아요.... 궁금하네요.
profile
해바락이 2009.12.16 19:22
감사합니다.
profile
키리 2010.01.04 22:52
감사합니다
profile
햄볶아요 2010.07.04 19:06
열공하고 갑니다~
profile
시나브로69 2012.05.23 01:17
좋은자료 감사드립니다.
search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평점 포인트 판매자 등록일 구매수 조회 수
공지 공공의 목적으로 공유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자료실'에 업로드를 요청드립니다.
공지 구매후 평점 댓글을 남겨주시면 구매포인트의 20%를 돌려드립니다.
2652 Analog & Mixed-Signal 설계 RF 레벨 버짓 Syscalc4 5P 썸남썸남 2022-12-23 1 269
2651 전기전자 아무거나 간단한 RF 필터 설계 프로그램 5P 썸남썸남 2022-12-23 1 191
2650 강좌 & 팁 OP-amp의 특징과 설계시 주의사항 [3] 5P dmz1723 2019-06-24 16 403
2649 강좌 & 팁 PCB 비용 절감을위한 기본 지침 [4] 무료 아크마 2018-06-17 0 764
2648 강좌 & 팁 인쇄 회로 기판 (PCB)에 사용되는 개념과 용어 [6] 무료 아크마 2018-06-17 0 1239
2647 Analog & Mixed-Signal 설계 아날로그 설계기초 이론 자료 입니다. [13] 무료 또지 2018-03-05 0 1093
2646 전력전자 DC-DC Switching Converter IC Design 이론 자료 입니다. [8] 무료 또지 2018-03-03 0 500
2645 전기전자 아무거나 마이컴 초짜의 넋두리~ [12] 무료 소스리 2009-08-20 0 1465
2644 Digital 회로 설계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 LVDS Application and Data Handbook [2] 무료 아크마 2018-02-18 0 244
2643 자작품 & 회로도 모음 전자병법(바테리) 무료 아크마 2018-01-14 0 341
2642 강좌 & 팁 알티움을 유지보수하면 좋은 이유 (1) / Altium 17 Draftsman 무료 아크마 2018-01-06 0 323
2641 ECAD 아무거나 회로부품에 Simulation Model 연결하기 무료 아크마 2018-01-06 0 254
2640 ECAD 아무거나 Altium Designer V9 datasheet 무료 아크마 2018-01-06 0 179
2639 ECAD 아무거나 Altium을 활용한 PCB CAD 툴의 운용 방법 무료 아크마 2018-01-06 0 223
2638 ECAD 아무거나 Altium Xspice 한글 매뉴얼 무료 아크마 2018-01-06 0 276
2637 ECAD 아무거나 XSpice Simulation Model 생성관련 자료 무료 아크마 2018-01-06 0 143
2636 자작품 & 회로도 모음 모드 전환형 자동충전기 무료 아크마 2018-01-05 0 210
2635 자작품 & 회로도 모음 자동차 알터네이터 고장감지회로 [1] 무료 아크마 2018-01-05 0 311
2634 강좌 & 팁 VHDL 기초이론 [2] 5P 태양인이제마 2017-12-26 14 331
2633 Analog & Mixed-Signal 설계 바이패스 캐패시터의 선정방법과 사용법 [3] 무료 아크마 2017-10-05 0 604
  • 가족이란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당신에게 주어진 신의 선물이다. 당신이 그들에게 그러하듯이.
    - 투투
  • * 납포인트 정보 *
  • 글 작성 : 3
  • 댓글 작성 : 1
저작권법에 위배되는 콘텐츠는 등록 불가하며, 저작물에 대한 권리는 저작자에게 있습니다.
Copyright 2006-2021 © hardwareis.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