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에 대해서 공부중에 댐핑(Damping) 이라는게 나왔는데요
이게 뭔가요?
허접한 질문 죄송합니다.
하드웨어 설계 및 개발에 대하여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는 공간입니다.
- Q&A, 자유주재 토론, 관련 정보 공유
- 분야 :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 전기/전자(아날로그/디지털) 회로 설계, C/C++ 프로그래밍, 펌웨어,
PCB Artwork, 트러블슈팅 등 하드웨어 설계에 관한 전반인 내용
※ 게시글에 맞는 분류를 선택하여 글을 작성해 주시면 쾌적한 사이트 운영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하드웨어 인사이트는 회원들간의 거래정보를 게재할 뿐이지, 그 어떤 책임과 의무도 가지지 않습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103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드론을 하고 싶은데10 | 아크마 | 1075 | 2017.10.01 |
102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가감속 질문 드립니다.1 | 짱광 | 922 | 2015.10.08 |
101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라인트레이서 모듈 연결을 잘못하겠습니다.1 | TOP3378 | 1030 | 2013.06.04 |
100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MB LineMouse 전원 쪽 질문있습니다~1 | 윤건 | 1282 | 2012.11.20 |
99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라인트레이서 소스 질문이요!1 | 졸작.. | 1394 | 2012.09.24 |
98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센서부 소스코드 입니다. 잘안되네요... | JHJ | 4554 | 2012.09.02 |
97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CORTEX M3 에서 STM32에서 UART통신에서 WAV파일재생하는법 | 풀발라라 | 1318 | 2012.06.18 |
96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라인트레이서 프로그램 질문 입니다. | 마이크로0001 | 1979 | 2011.11.25 |
95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아크마님.. 라인트레이서 구동 질문입니다1 | 호롤로로로로 | 3399 | 2011.11.16 |
94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아크마님 질문있습니다!!2 | 호롤로로로로 | 1514 | 2011.11.02 |
93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아크마님 라인트레이서 lcd부분입니다1 | 호롤로로로로 | 1928 | 2011.09.22 |
92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ADC 하이패스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2 | mystyle_me | 4924 | 2011.07.09 |
91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라인트레이서 질문 잇습니당! | 문성욱 | 1973 | 2011.04.29 |
90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MB라인트레이서 모터부 회로 질문입니다.1 | 문성욱 | 2725 | 2011.03.25 |
89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v2.0 mb라인마우스 받아서 구성중인데요 | 문성욱 | 2027 | 2011.03.21 |
88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mb라인트레이서 부품 질문입니다1 | 문성욱 | 2574 | 2011.03.18 |
87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라이트레이서 모터부 회로도 에서 질문점 드릴게요..!3 | 라인걸어서 | 3026 | 2010.12.27 |
86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라인트레이서를 준비중입니다 .2 | 차차창 | 1769 | 2010.12.11 |
85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아크마 라인트레이서 동작 질문.. | 천년동안 | 1725 | 2010.11.17 |
84 | 드론/로봇/라인트레이서 | HOT라인트레이서 소스 | 조의련 | 3849 | 2010.11.07 |
음 ~~~ 맞는 소리인지 모르겠는데. 출력에서 입력으러 가는 전송 선로에 들어가는 저항을 댐핑저항이라고 하는 것 같아요.
전송라인에 따라서는 임피던스매칭이 필요하게 되는데, 그것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거 같아요. 맞나 모르겠네...?
댐핑저항은 과도한 전류의 유입을 막기위해 달아주는 것이라 생각하심 될 것 같네요. 공진에 쓰는 댐핑은 Q값은 나빠지지만 안정도는 좋아집니다.
블루소울님 답변이 맞고요^^
한마디로, 주요 IC에 전류에따른 손상을 막기위해 NET에 직렬로 달아 주는 저항이며, 저항의 기본 성질인 전류의 흐름을 막는 역할을 이용하여 생긴 별칭이 댐핑저항입니다.
다른 용도로는 과도한 신호의 레벨을 줄일때로 사용하기도 하는데요..임피던스 매칭과는 다른 의미 입니다.
참고로 캐패시터에도 별칭이 여럿 있습니다. 바이패스나 DC Stoping 등 모든 수동소자들의 기본성질을 공부하셔야 이해하기 쉽습니다.
참고하세요
위 용장군님의 답변이 제가 알고 있는 바와 차이가 있는 듯 하여 댓글을 씁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고수님들의 날카로운 지적 부탁 드립니다.
댐핑 저항 자체가 회로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이므로 그만큼 전류가 작아지는 효과가 있겠습니다만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이 경우 전류제한저항 또는 current limit register 라고 합니다), 신호의 레벨 감쇄도 주파수 특성이라는 관점에서 보아야 맞는 것으로 압니다.
고속회로는 매우 높은 주파수의 신호로 동작하므로 회로에 유/무선으로 유입되는 고주파 노이즈에 오동작하기 쉽고, 기생 정전용량이나 copper 저항 등에 의해 신호 송신단이나 수신단, 신호선로에 대한 설계 이론치가 실제 제작물과 달라 고주파 공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주파수가 매우 높은 over shoot와 ringing 현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조치로써 회로에 의도적으로 추가하는 저항이 댐핑저항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댐핑저항이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삽입하지 않을 경우 부품의 오동작이나 수명단축, 소손/파괴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너무 작은 댐핑저항은 그 효과가 미미할 것이고 너무 큰 댐핑저항은 신호의 level 변화 시간을 길게 하여 정보전달을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즉, 고속회로에서 댐핑저항은 신호의 안정화를 목적으로 하며 적절한 값으로 적용시 신호(high 또는 low)에 끼어 있는 고주파 노이즈의 크기를 떨어뜨린다거나 over shoot 크기를 떨어뜨려서 전송신호 자체의 품질과 동작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보통 22 ohm 정도를 표준으로 적용하는데 완벽하게 설계한 PCB가 아닌 바에야 22 ohm이 always right라고 할 수는 없겠습니다.
즉, 실제 PCB를 제작하고 신호의 파형을 측정하면서 (아!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를 대는 순간에 임피던스가 달라져서 화면에 보이는 파형이 진짜라고 믿을 수 없겠지만 최신의 고주파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오실로스코프는 좀 다를 것이라 기대해도 될까요? ^^) 최적의 값을 찾아 확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댐핑 저항은 고속신호의 transition edge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고주파 over shoot/surge의 크기와 주파수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EMI 성능 개선에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