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ID/PW 찾기

1) 지식 창고는 본인이 작성한 콘텐츠(팁/노하우/리소스/강좌 등)을 무료 혹은 가상화폐인 납포인트를 통해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2) 본인이 작성한 콘텐츠에 대해서만 지식 창고에 등록할 수 있으며, 저작권에 위배되는 콘텐츠는 사전경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3) 콘텐츠 구매 및 첨부파일 다운로드는 회원그룹 '연구원' 이상 가능하오니, 경험치를 쌓아 진급한 후에 이용 부탁드립니다.
4) 무료 콘텐츠의 본문은 구매절차 없이 즉시 이용할 수 있으며, 판매 납포인트가 있는 콘텐츠는 구매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5) 콘텐츠 판매에 따른 납포인트 수익은 지정한 비율(50%)에 따라 판매자에게 지급하며, 납포인트 수익을 통해 진급을 빨리할 수 있습니다.
6) 구매 후 평가를 하면 구매 납포인트의 20%를 돌려 드립니다.

콘텐츠 수 1,041

모터의 PID 제어법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매수 0 2007.07.10 03:33:41
판매자 뺘쑝 판매 납포인트 무료 평점 0점 / 총 0명 참여


모터의 PID 제어법

1. PID 제어란?

    자동제어 방식 가운데서 가장 흔히 이용되는 제어방식으로 PID 제어라는 방식이 있다.
    이 PID란,

    P: Proportinal(비례)
    I: Integral(적분)
    D: Differential(미분)

    의 3가지 조합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유연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2. 단순 On/Off 제어

    단순한 On/Off 제어의 경우에는 제어 조작량은 0%와 100% 사이를 왕래하므로 조작량의 변화가 너무 크고, 실제 목표값에 대해 지나치게 반복하기 때문에, 목표값의 부근에서 凸凹를 반복하는 제어로 되고 만다.
    이 모양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랫 그림과 같이 된다.
     


 

3. 비례 제어

    이에 대해 조작량을 목표값과 현재 위치와의 차에 비례한 크기가 되도록 하며, 서서히 조절하는 제어 방법이 비례 제어라고 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목표값에 접근하면 미묘한 제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하게 목표값에 가까이 할 수 있다.
    이 모양은 아랫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PI 제어

    비례 제어로 잘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겠지만, 실제로는 제어량이 목표값에 접근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그것은 조작량이 너무 작아지고, 그 이상 미세하게 제어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한다. 결과는 목표값에 아주 가까운 제어량의 상태에서 안정한 상태로 되고 만다.
    이렇게 되면 목표값에 가까워지지만,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제어량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상태로 되고 만다.
    이 미소한 오차를 "잔류편차"라고 한다. 이 잔류편차를 없애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적분 제어이다.
    즉, 미소한 잔류편차를 시간적으로 누적하여, 어떤 크기로 된 곳에서 조작량을 증가하여 편차를 없애는 식으로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비례 동작에 적분 동작을 추가한 제어를 "PI 제어"라 부른다.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랫 그림과 같이 된다.
     


 

5. 미분 제어와 PID 제어

    PI 제어로 실제 목표값에 가깝게 하는 제어는 완벽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또 하나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것은 제어 응답의 속도이다. PI 제어에서는 확실히 목표값으로 제어할 수 있지만, 일정한 시간(시정수)이 필요하다.
    이때 정수가 크면 외란이 있을 때의 응답 성능이 나빠진다.
    즉, 외란에 대하여 신속하게 반응할 수 없고, 즉시 원래의 목표값으로는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필요하게 된 것이 미분 동작이다.
    이것은 급격히 일어나는 외란에 대해 편차를 보고, 전회 편차와의 차가 큰 경우에는 조작량을 많이 하여 기민하게 반응하도록 한다.
    이 전회와의 편차에 대한 변화차를 보는 것이 "미분"에 상당한다.
    이 미분동작을 추가한 PID 제어의 경우, 제어 특성은 아랫 그림과 같이 된다.
    이것으로 알 수 있듯이 처음에는 상당히 over drive하는 듯이 제어하여, 신속히 목표값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제어해 간다.
     


 

6. 컴퓨터에 의한 PID 제어 알고리즘

    원래 PID 제어는 연속한 아날로그량을 제어하는 것이 기본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 PID 제어를 실현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연속적인 양을 취급할 수 없다. 왜냐하면, 컴퓨터 데이터의 입출력은 일정시간 간격으로밖에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미적분 연산을 착실히 하고 있는 것에서는 연산에 요하는 능력으로 인해 고성능의 컴퓨터가 필요하게 되고 만다.
    그래서 생각된 것이 샘플링 방식(이산값)에 적합한 PID 연산 방식이다.

    우선, 샘플링 방식의 PID 제어의 기본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조작량=Kp×편차+Ki×편차의 누적값+Kd×전회 편차와의 차
                  (비례항)         (적분항)             (미분항)

    기호로 나타내면

    MVn=MVn-1+ΔMVn
    ΔMV
    n=Kp(en-en-1)+Ki en+Kd((en-en-1)-(en-1-en-2))

    MVn, MVn-1: 금회, 전회 조작량
    ΔMVn: 금회 조작량 미분
    en, en-1, en-2: 금회, 전회, 전전회의 편차

    이것을 프로그램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번과 전회의 편차값만 측정할 수 있으면 조작량을 구할 수 있다.


7. 파라미터를 구하는 방법

    PID 제어 방식에 있어서의 과제는 각 항에 붙는 정수, Kp, Ki, Kd를 정하는 방법이다.
    이것의 최적값을 구하는 방법은 몇 가지 있지만, 어느 것이나 난해하며, 소형의 마이크로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것이다(tuning이라 부른다).
    그래서, 이 파라미터는 cut and try로 실제 제어한 결과에서 최적한 값을 구하고, 그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참고로 튜닝의 수법을 소개하면 스텝 응답법한계 감도법이 유명한 수법이다.

    또, 프로세스 제어 분야에서는 이 튜닝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Auto tuning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유닛도 있다. 이것에는 제어 결과를 학습하고, 그 결과로부터 항상 최적한 파라미터값을 구하여 다음 제어 사이클에 반영하는 기능도 실장되어 있다.

    여기서 스텝 응답법에 있어서 파라미터를 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우선, 제어계의 입력에 스텝 신호를 가하고, 그 출력 결과가 아랫 그림이라고 하자(파라미터는 적당히 설정해 둔다).






    윗 그림과 같이 상승의 곡선에 접선을 긋고, 그것과 축과의 교점, 정상값의 63%에 해당하는 값으로 된 곳의 2점에서,
    L: 낭비시간 T: 시정수 K: 정상값의 3가지 값을 구한다.
    이 값으로부터, 각 파라미터는 아래 표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제어 동작 종별

Kp의 값

Ki의 값

Kd의 값

비례 제어

0.3~0.7T/KL

0

0

PI 제어

0.35~0.6T/KL

0.3~0.6/KL

0

PID 제어

0.6~0.95T/KL

0.6~0.7/KL

0.3~0.45T/K


이 파라미터에 범위가 있지만, 이 크기에 의한 차이는 특성의 차이로 나타나며, 아랫 그림과 같이, 파라미터가 많은 경우에는 미분, 적분 효과가 빨리 효력이 나타나므로 아랫 그림의 적색선의 특성과 같이 overshoot이 크게 눈에 띈다. 파라미터가 작은 쪽의 경우는 하측 황색선의 특성과 같이 된다.
 




 

profile

profile
묵혈 2007.10.05 11:50

정말 수고하시는데 죄송한 말씀이지만...그림이 안보여요..ㅠ.ㅜ

profile
야바 2007.10.12 06:42

저도 그림이 안보이네요..;;

profile
개발자 2008.08.12 22:47
그림 안보여요....ㅠㅠ
profile
시나브로69 2017.06.24 13:18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profile
이규상 2018.06.09 15:38

포인트는?

search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평점 포인트 판매자 등록일 구매수 조회 수
공지 공공의 목적으로 공유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자료실'에 업로드를 요청드립니다.
공지 구매후 평점 댓글을 남겨주시면 구매포인트의 20%를 돌려드립니다.
341 마이크로프로세서 Atmega8을 Atmega88 로 디자인을 변경하는 어플리케이션 노트 [2] 무료 아크마 2008-03-28 0 4904
340 마이크로프로세서 avr gcc컴파일러와 avr studio 사용하기 [13] 무료 DEAN 2008-03-27 0 4089
339 마이크로프로세서 페러렐포트(프린터포트) 입출력 주소번지 변경 프로그램 [4] 무료 아크마 2008-03-24 0 3584
338 마이크로프로세서 AVR 클럭퓨즈비트 설정으로 AVR살리기[by 아크마] [34] 무료 아크마 2008-03-20 0 4459
337 마이크로프로세서 AVR은 어려워~~ [3] 무료 피하지말자 2008-03-17 0 4259
336 펌웨어 & 코딩언어 C++ 도움말 [7] 무료 마칼바람 2008-03-06 0 1672
335 펌웨어 & 코딩언어 Linux C++ Programming HOWTO [4] 무료 마칼바람 2008-03-06 0 3517
334 마이크로프로세서 굴러들어온 AVRISP mkII, 결국은 AVR Studio 밖에 없나 ;ㅅ; [1] 무료 암흑혜성 2008-03-06 0 2960
333 마이크로프로세서 좌수법을 사용하는 미로로봇 소스 [5] 무료 파파준 2008-03-01 0 5324
332 마이크로프로세서 CDP 자료 입니다 [4] 무료 코코 2008-02-22 0 4043
331 마이크로프로세서 시리얼통신 자료 입니다 [6] 무료 코코 2008-02-22 0 4371
330 마이크로프로세서 초음파 센서자료 입니다 [28] 무료 코코 2008-02-22 0 5055
329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운드 자료 입니다 [7] 무료 코코 2008-02-22 0 4107
328 펌웨어 & 코딩언어 핸들보정 프로그램및 설명 [6] 무료 뺘쑝 2008-02-20 0 1652
327 마이크로프로세서 [Intel App Note] PID Motor Control Using The 80196 [11] 무료 스나군 2008-02-18 0 3401
326 마이크로프로세서 월간자동화기술-인간의 보행 로봇의 보행 [12] 무료 스나군 2008-02-18 0 4031
325 머신러닝, AI & 알고리즘 (MATLAB15) High_level function [3] 무료 뺘쑝 2008-02-04 0 2959
324 마이크로프로세서 PORT95NT.EXE - PORT I/O 드라이버(dlportio.sys 에러날때) [6] 무료 아크마 2008-01-22 0 4961
323 마이크로프로세서 초간단 AVR16을 이용한 LED제어회로 [77] 무료 아크마 2008-01-17 0 6076
322 마이크로프로세서 서보모터 개조법 [5] 무료 볼매(승훈) 2008-01-14 0 4690
  • 인생을 해롭게 하는 비애를 버리고 명랑한 기질을 간직하라.
    - 세익스피어
  • * 납포인트 정보 *
  • 글 작성 : 3
  • 댓글 작성 : 1
저작권법에 위배되는 콘텐츠는 등록 불가하며, 저작물에 대한 권리는 저작자에게 있습니다.
Copyright 2006-2021 © hardwareis.com, All rights reserved.